구리에 의한 소독 얘기가 나와서 한번 써봅니다.

이하 반말로 진행합니다.

또각또각

회사 들어오고 얼마 안되었을 때였던 것 같다. 사원 때? 대리 때?
무슨 주제의 회의였는지, 왜 그얘기가 나왔었는지 기억이 안는데 구리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여하튼 재료 상에 구리를 첨가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얘기가 나왔는데 주제는 가공성의 향상이었다.
당시 나사를 만들 용도로 쓰는 스뎅에 대해 언급 중이었고, 일정량 구리를 첨가한 재료 쪽이 가공성이 훨씬 좋다는 내용으로 얘기가 오가고 있었다. 구리의 무른 성질이 스뎅에 첨가했을 때도 그대로 나타나서 두들켜 패서 가공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거다.

A : 생산이사
B : 영업이사
C : 나막신

A : 스뎅 A는 구리가 2%고, 스뎅 B는 3%이니 이 고객이 만들려는 나사는 B가 맞다.
B : 고객이 비싸다고 스뎅 A로 해달라고 한다. 무조건 맞춰달라.
A : A로 했을 때 가공은 될지 몰라도 불량율이 높게 나오고 공구 수명이 안나올 거다.
B : 어느 정도 불량율이 예상되는가?
A : 아다시피 고객마다, 제품마다 다 다르니까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뭐 이런 얘기가 오갔었던 것 같다. 그러다가 뜬금 없이 내게 질문이 왔다.

A : 어이 C, 재료에 구리를 첨가했을 때 가공성 향상 이외의 다른 효과에 대해 알고 있나?
C : ...잘 모르겠습니다.
A : 이런 신발, 항균 작용 몰라? 항균 작용?

그렇다, 난 그때 구리의 항균 작용에 대해 뼈저리게(?) 각인이 되었다. 학교에서 배운 스뎅에 대한 내용에는 크롬이랑 니켈 넣는 설명만 있지 구리에 대한 것은 일언반구도 없었다(라고 기억하고 있...).
구리에 대한 것은 주로 단독으로 정련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었다.

그렇게 잊혀져가던 구리를 다시 뇌리에 새기게 되는 글을 읽게 되었다.

개인적인 경험담을 공유하셨다가 유해성 논란에 내용이 지워진 상태라 따로 링크는 걸지 않겠다.
원 글의 내용은 초음파 가습기의 내부 탱크 살균을 위해 구리를 넣었고 물 때가 전혀 생기지 않는 등 효과가 좋았다는 것이었다. 호오라~ 이거 아주 신박한 아이디어인 걸???
그런데, 댓글로 유해성 논란이 있었다. 그 구리가 물에 녹아 물 입자랑 뿌려지면 유해할 수 있다는 거였고. 이 유해성 때문에 시작 부에 소재를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을 올리질 못했다. 죄송스럽다.

위 사진은 이번 편에서는 딱히 사진을 넣을만한 것이 없어 그냥 인터넷 검색에서 걸린 독일 무슨 예술 박물관에 있다는 가습기 사진을 넣어봤다.

구리의 항균성 때문에 문 손잡이나 난간 등을 구리가 들어간 재료로 만들어서 실제 항균 작용이 일어난 다는 글은 좀 검색이 된다. 최근에는 코로나 때문에 구리 성분이 들어있다는 항균 필름들이 엘리베이터 버튼 등에 덧 씌워지기도 한다.
그런데, 가습기에다가 구리 조각을 직접 넣어서 썼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는 정확한 정보가 나오지 않았다.

이런 잡생각을 하다보니 머리에 떠오른 것이 구리 자체가 비싼 금속이긴 하지만 조각 그거 얼마하지도 않는데 왜 제작 업체들은 넣지 않는 것일까? 암만 단가가 올라간다해도 99.9% 항균이니 물때가 생기지 않는다 하면 사람들 다 몰려가서 살텐데? 고급화 추세에 딱 좋은 소재인데?
일단 국내 검색 엔진 두개에서는 유기, 쉽게 말해 놋그릇 재료를 넣은 제품 하나가 검색되긴 했다.
그런데 17년 12월에 판매를 시작한 건지 그때 조금 글이 있고 이후로는 없다.
놋그릇에 쓰이는 유기는 대략 구리 78%, 주석 22% 정도의 합금이다. 그래서, 두개의 색깔이 섞여서 우리가 아는 그 금색 비슷한 그 색이 된다.
유기의 경우 제대로 관리를 안하면 색깔이 변하는데 이건 음식과 닿기 때문이다. 음식들이 성분이나 산도만 봤을 때 꽤나 부식성이 강하다.

이거 말고 검색에 걸리는 게 오리 모양으로 생긴 유기 조각.
일단 광고 자체에 가습기에 써도 된다고 되어있고,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한다. 부식이 생기면 수세미로 지우고 다시 넣으라고 되어있다. 부식이 일어났다는 것은 표면에서 뭔가 화학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인데 이 반응에 의해 금속 성분이 물에 녹아들어갔는지까지 찾아볼 신발이 아니다.

2, 3만원 짜리 유기 쪼가리가 이런 효과가 있다면 가습기에 집어넣고 10만원 쯤 더 받아도 불티나게 팔리지 않을까?
물론 그 전에 이게 물입자랑 같이 방출되어 사람 몸에 들어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가 우선 검증되어야 하겠지. 얼마전에 크게 터졌던 살균제 문제도 아직 완벽히 해결되지 않지 않았나?
본 신발도 한 동안 그거 썼었는데 제에에엔장!!!

몇가지 검색어로 더 돌려보니 울나라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서울대랑 국립환경과학원에서 19년에 발표한 논문이 하나 검색되었다.
제목이 무려 "가습기 사용 물의 종류에 따른 공기중 유해물질 농도 평가"
이걸로 일단 가습기에 수돗물을 쓸 것인가? 정수기 물이나 증류수를 쓸 것인가에 대한 논란은 종식시킬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국내 O사의 초음파 가습기를 사용하고 수돗물은 그냥 서울시의 수돗물, 정수기 물은 C사 정수기 물, 증류수는 국내 J 사의 것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는 예상한데로다 수돗물 > 정수기 물 > 증류수 순으로 입자가 많고 그 입자에서는 중금속들도 많이 검출되었다. 그런데, 그 농도가 낮아서 공기 중으로 발생된 중금속이 건강 영향을 줄 수 있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한다.
내 기억이 맞으면 실제 가습기 업체들 설명서에는 정수기 물 말고 수돗물을 쓰라고 되어있다. 그게 정수기를 통과한 물은 수돗물 대비 살균 성분이 없어 더 빨리 세균이 번식하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면 물 좀 자주 갈아줄 생각하고 그 허연 가루도 줄일 겸 정수기 물을 쓰는 게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연결해서 찾아낸 것이 미국 EPA의 보고서 한가지.
제목은 "Use and Care of Home Humidifiers"로 가정용 가습기의 사용과 관리 정도로 번역이 된다.
내용에는 초음파, 자연증발식, 기화식, 가열식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물 사용에 대해서는 수돗물 사용시 위에 결과처럼 여러가지가 나오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되어있다. 정수기 물이나 증류수를 쓰는 것은 그 허연 가루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도대체가 구리를 직접 언급한 것은 못찾다가 드디어 하나가 걸렸다.
1970년에 Dean이라는 양반이 가습기에 항균 목적으로 구리를 넣었다는 거였다. 오호라, 이게 딱 원하던 거네!!! 그런데 이 글은 1981년 거네???
근데 원본 내용은 찾을 수 없고 요약 정도만 있다. 영어긴 한데 글 내용이 좀 혼란스러워서 월남 온지 1년 넘어 영어도 다 까먹어가는구나 하고 한글 번역기나 돌려볼까 했는데 원문이 독일어인 듯 하니 본 신발의 영어 능력은 문제가 없다???
가습기를 사용한 한 그룹과 공기에 구리를 추가한(어떻게???) 그룹으로 나누어서 소변에 나오는 구리 함량을 검사했고 두번째 그룹이 2일을 넘기는 시점부터 정상보다 훨씬 많은 구리가 나왔다는 것이다.
글 시작으로 봐서는 가습기에는 구리가 들어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구리를 추가한 공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이게 가습기에 구리를 넣어서 만들어진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실험 설명 부분에는 그 이비인후과 가면 호흡기에 연기 뿜어주는 네뷸라이저인가 까지 언급되어 있어 더 혼란스럽다.
다만 맨 끝 부분에 어느 쪽도 구리 중독에 의한 증상은 없었다는 걸로 봐서는 써도 될 것 같기도 하고.

이제 금속학적 고찰 고유의 결론을 내어보자.
본 신발이 알아낸 건 여기까지고 더 이상은 모르겠고, 사용 여부는 당신들의 몫이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어가고 있다. 세계 1위의 의료 선진국으로 우뚝 선 울나라를 찬양하라!!!

멀리서 코로나로 인해 재외투표도 못해 죄송한 나막신이...ㅠㅠ

Posted by 나막신
,

달고나에 대해 이전에 한번 썼던 것 같아서 찾아봤는데 못찾겠네요.

다시 쓰는 거죠, 뭐.

이하 반말로 진행합니다.

또각또각

얼마전 와이프님께서 한국에 유행하는 달고나 커피를 배달시켰다고 기대감이 크셨다.
도착한 커피는 카페 라떼 위에 그 달고나를 조각내서 올려놓은 거였다.
아무 생각 없이 녹혀서 먹었는데 그닥 달지도 않고 딱히 달고나 맛이 나는 것도 아니고 이도저도 아닌 물건이다???
이게 왜 한국에서 인기가 있는 거지? 도대체 모르겠네? 하면서 넘겼는데...

우연히 너튜브에서 달고나 커피 영상을 봤는데 생각하는 거랑 영 달랐다.
재료가 커피랑 설탕??? 소다는 어디 가고 커피???

연식 인증일지 모르지만 부산, 아니 내 기억에 이 묘한 음식물의 정체는 달고나가 아니고 '쪽자'라고 불렀다.

너뷰브의 달고나 만드는 방법은 커피랑 설탕, 물을 일정 비율로 넣고 미친듯이 섞어서 겉보기에만 달고나랑 비슷하게 만들어서 우유 위에 올려먹는 방식이다.
맛이 비슷한 건가? 생긴 게 비슷한 건가? 여하간 해먹어볼 생각은 없다.
기계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코로나로 방콕하는 동안 시간 떼우기로 온전히 인력으로 해야 한다는 게 중요한 부분이랄까?
계속 넘기다보니 이름은 까먹었는데 이태리에서 설탕에다가 에스프레소를 부은 뒤에 섞어서 만드는 게 있던데 비슷해보였다.
더 알아보니 이런 비슷한 것들이 세계적으로 여러가지 이름으로 존재하는 듯 하다.

일단 본 신발은 손이 없기에 순수하게 손으로 해야하는 저 묘한 방식의 달고나는 모른 척 하고 추억의 쪽자로 가본다.
쪽자는 부산 경남 지역에서 주로 썼던 이름인 듯 하고, 이걸 만들 때 쓰던 국자 같은 그 물건을 쪽자라고 불렀던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쪽자란 이름은 국자에서 어떻게 변형된 거 같고.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쪽자에 설탕을 넣고 불에 녹인다, 불은 연탄불이었다.
설탕이 완전히 녹으면 약간 노란 빛을 띠게 되는데 이때 설탕을 젓던 젓가락 끝에 소다를 살짝만 묻힌 뒤에 설탕에 넣고 같이 젖는다. 이때 부풀어 오르면서 설탕의 투명한 갈색이 옅은 갈색으로 변한다. 투명한 부분없이 완전히 섞였으면 식힐만한 곳에 쏟은 뒤에 식어서 굳을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예전 불량식품의 대표 주자였고, 그냥 저렇게 먹는 게 아니고 다 만들어 쏟은 뒤에 호떡처럼 둥그렇게 누르고, 그 안에 토끼나 하트 같은 모양을 찍는 틀을 올려서 찍은 뒤에 받게 된다.
그러면 바늘이나 핀으로 열심히 찔러서 그 모양을 그대로 따내야 했다. 온전히 따내면 한개 더 받았던 것 같다. 잘 해볼려고 침 발라가면서 열심히 했던 기억이 있다.

자, 그럼 이건 온전히 우리나라 것일까?

글쎄? 바로 튀어나오는 게 카루메야키(カルメやき、軽目焼)라고 일본 것이다. 


한자 軽目가 뭔 뜻인지 찾으려했더니 일본 위키에서 단거(danger 아님, 달달한 거)를 뜻하는 포르투갈 어 caramelo 에다가 굽는다는 야키가 붙은 말이라고 되어있다. 포르투갈 애들이 일본에 가르쳐 준 건가?
카루메야키 너뷰트 영상은 특이한게 설탕을 녹이는 건 같은데 계란 흰자에다가 소다를 섞어넣는 식이었다.
포르투갈 어는 몰라서 더 추적은 못하겠고, 여하튼 우리나라 일본만 아니고, 미국, 영국, 중국 등 이런저런 나라에 비슷한 것들이 있다고 한다.

미국에선 Honeycomb toffee라고 부른다는데 깼을 때 내부에 벌집처럼 구멍이 나있어서 부르는 이름인 듯 하다. 실제로 꿀을 넣기도 하는 모양이고.
설탕이나 콘 시럽을 주 재료로 소다를 넣는 것 비슷한데 간혹 식초를 넣기도 했다고 한다.

소다를 넣는 이유는 안에서 그 유명한 이산화가스를 만들기 때문이다. 가스가 발생하면서 내부에 구멍이 생겨서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소다 없이 그냥 설탕을 녹였다가 굳히면 노란 색의 투명한 형태가 되는데 이 쪽자를 하는 곳에 가면 항상 같이 있던 게 뽑기라고 불리는 숫자판에 지정한 숫자가 뽑히면 숫자에 따라 경품 형식으로 이 설탕을 녹였다 굳혀서 만든 과자를 하나씩 나눠주었다. 보통 최고 상품이 잉어인지 큰 물고기랑 거북선이었던 것 같다.
소다를 넣을 때 주의할 것은 과량을 넣으면 쓴 맛이 난다.

카페 같은데서 대량으로 만드는 방법도 올려두었던데 이건 설탕만 넣는 게 아니고 물을 일정 비율 섞어서 하고 있었다. 대량이다 보니 소다도 좀 많이 들어가고.
저번에 커피를 시켰던 집에서 꽤나 잘 팔렸는지 별도 상품으로 만들어 커피를 사는 사람에게만 별도 구매하게 미끼?) 삼상품으로 만들어 팔기 시작했다. 이걸 먹어봤을 때 꽤 부드럽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이게 물 때문인 것 같다. 집에서 물 없이 설탕만 가지고 해보면 거의 사탕처럼 꽤 딱딱하다.

마지막으로 미세먼지(응?) 이야기를 좀 하고 넘어가자.
와이프님께서 갑자기 직접 해보시겠다고 해서 마트 가서 제일 싼 국자를 하나 사왔다.
그리고는, 설탕을 넣고 가스 레인지 위에서 녹이기 시작했다. 다 녹아서 설탕 냄새가 거실에 퍼질 때 쯤 갑자기 거실에 있는 가성비의 중국제 공기청정기가 고속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중국 설정이 너무 헐렁하다고 해서 30 이상 올라가면 빨리 돌아가도록 했는데 수치가 40 정도까지 올라가 있었다.
요리할 때도 가끔 그럴 때가 있는데 달콤한 냄새도 미세먼지처럼 입자 상으로 퍼지는 걸 확인한게 되었다.

400번을 저어야한다는 커피를 이용한 새로운 달고나를 해볼지, 설탕을 불에다 녹이는 원조 달고나를 해볼지는 당신의 판단에 맡긴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 각 집에 소다는 왜 갖고 있었던 거지? 식용으로 먹을 수 있다고 식소다란 이름을 달고 있었던 것 같은데 베이킹 소다라고 같은 거라 해도 예전에 집집마다 빵을 해먹지도 않았고.
검색해보면 냄새 제거나 청소 용도로 많이 썼던 것 같은데 이건가?

Posted by 나막신
,